RSV(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) 정리 표
구분 |
내용 |
정의 |
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 |
감염 시기 |
주로 늦가을겨울(10월3월) |
감염 대상 |
대부분 생후 2년 이내 첫 감염, 재감염 가능 (성인 포함) |
위험군 |
1세 미만 영아, 미숙아, 선천성 심질환 또는 폐 질환 있는 영유아 등 |
국가건강정보포털
주요 증상 (영유아 기준)
주요 증상 |
특이 사항 |
콧물, 기침, 재채기 |
일반 감기와 유사 |
발열 |
고열보다는 미열 또는 없음 |
수유량 감소 |
수분 섭취 주의 |
빠른 호흡, 쌕쌕거림 |
천명음(숨쉴 때 나는 소리) |
무호흡 |
특히 미숙아나 신생아에서 주의 |
보챔, 쳐짐 등 |
전형적인 호흡기 증상 없이 나타날 수도 있음 |
보살피는 방법
관리 항목 |
내용 |
해열·진통 |
아세트아미노펜, 이부프로펜 가능 (※ 아스피린 금지) |
수분 공급 |
물, 주스, 우유 등 / 기저귀 체크로 탈수 확인 |
휴식 |
증상 심할 경우 충분한 휴식 |
병원 방문 필요 시 |
호흡곤란, 청색증, 심한 탈수 등 증상 시 즉시 내원 |
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
증상 |
설명 |
호흡곤란 |
콧구멍 벌렁거림, 쌕쌕거림, 흉부 함몰 등 |
청색증 |
입술, 손톱 등이 파래짐 |
무호흡 |
10초 이상 숨 멈춤 |
탈수 증상 |
소변량 감소, 기저귀 적게 나옴 |
일반 치료 |
수액, 산소, 분비물 제거 등 |
고위험군 치료 |
중환자실 치료 가능성 있음 |
고위험군 영유아 기준 (Palivizumab 예방접종 대상)
조건 |
설명 |
(1) 생후 6개월 이하 + 재태기간 32주 미만 |
당해 4월 1일 이후 출생한 경우 |
(2) 재태기간 36주 미만 + 아래 조건 만족 |
– RSV 계절 출생 – 형제/자매 있음 |
(3) 기관지폐이형성증 |
RSV 유행 6개월 이내 치료받은 만 2세 미만 |
(4) 선천성 심장질환 |
약물치료, 폐고혈압, 청색성 심장질환 등 동반한 만 2세 미만 |
*재태기간:임신 후부터 출산 전까지 태아가 자궁 내에서 성장하는 기간.
질병관리청
전파 및 예방 수칙
예방법 |
내용 |
손 씻기 |
비누로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씻기 |
얼굴 접촉 금지 |
씻지 않은 손으로 눈·코·입 만지지 않기 |
접촉 피하기 |
감염자와의 접촉 최소화 |
소독 |
장난감, 식기 등 자주 만지는 물건 소독 |
기침 예절 |
기침 시 입과 코 가리기 |
외출 자제 |
증상 있을 때는 집에서 휴식 |
질병관리청